본문 바로가기
금융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by 북적인 2023. 4. 1.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오늘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 나이제한 만 19세~만 34세 만 19세~만34세
소득제한 총 급여액 6,000만원 이하 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2,500만원 이하)
가구소득제한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제한 없음
가입시기 2023.06월 시행 예정 2022.2월 출시. 현재 가입 불가
당시, 2주정도 시행후 마감
기본금리 미정
(6~7% 예상)
3년 고정금리+2년 변동금리 예정
5%
우대금리 미정 +1%
계약기간 5년 2년
월불입액 40만원~70만원 최대 50만원
정부지원 최대 6% 1년차 2/%, 2년차 4%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입나이는 동일합니다.

단, 소득요건이 달라졌는데요!

 

청년희망적금보다 청년 도약계좌가 소득요건이 더욱 완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소득 6,000만원 이하면 가입이 가능하니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자보다 청년 도약 계좌의 가입 대상자가 더 늘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단, 청년 희망적금에는 없었던 기준인 가구 소득제한이 추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 값을 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급여종류별 선정기준과 생계급여 지급액을 정하는 기준이고,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2023년 2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3,456,155원입니다.

◇ 기준 중위소득
☞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 값을 말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은 급여종류별 선정기준과 생계급여 지급액을 정하는 기준이고,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 희망적금은 2022년 2월에 출시되어 이미 가입기간이 종료되어 더 이상 가입할 수 없습니다.

목돈 마련을 위해 적금을 가입하실 청년들이라면 이제 2023년 6월에 시행될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노려야 하는데요!

대상이 된다면 무조건 가입해야 합니다.

 

정부가 파격적인 지원을 해주는 걸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상품이니 가입 전 미리 준비 하시고 혜택을 꼭 받아가시기를 바랍니다.

 

 

가장 중요한 중위 소득요건!

부모님과 주민등록 등본상에 세대를 같이 하고 있을 경우 부모님의 소득 때문에 소득가입이 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기준 중위소득 180%이상이 되는 가구의 세대인 경우 가입 전에 세대를 미리 분리해 놓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단, 이부분이 가입 당시의 요건만 해당이 되는지 과거를 보게 될지는 미지수네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은 청년희망적금과는 달리 적금기간이 5년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가입기간이 2년인 것에 비하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이 굉장이 긴 편인데요!
청년의 저축을 장려하는 부분에서는 취지가 좋지만 과연 5년 이상 유지할 만한 청년들이 몇이나 될지 이것도 궁금해 지네요! 사회 초년생 청년들이 매월 70만원의 자금을 5년간 불입을 한다...??? 누구를 위한 적금인지. 의구심이 드는 건 왜 일까요?
청년도약계좌
 

아무튼 가입대상이 되도 불입을 한다면 어느정도 경제적으로 여유가 되어야 적금을 밀리지 않고 쭈욱 납입할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드는데요! 저도 가입자격만 된다면 가입하고 싶어지는 상품이네요!

 

 

                   
반응형

댓글